3월 27일 환경기사

관리자
발행일 2006-03-28 조회수 5

"온난화로 생물 100만종 멸종위기 몰릴 수도"
타임지 "현재 양서류 1/3은 심각한 공경에 처해있다"
한국일보  입력시간 : 2006/03/27 11:17
지구 온난화로 양서류의 3분의 1이 심각한 곤경에 처해 있고, 오는 2050년까지 100만종 이상의 생물이 멸종위기에 몰릴 것이라는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고 미국의 시사주간 타임이 26일 보도했다.
타임은 이날 최신호(4월3일자) 커버스토리에서 지난 3억5천만년동안 존재해온 양서류의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다면서 현재 알려진 5천743종의 양서류 가운데 거의3분의 1은 심각한 곤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특히 얼룩무늬가 화려한 중남미의 개구리 110종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이미 사라지는 등 오는 2050년까지 100만종 이상의 생물이 멸종위기에 몰릴 것이라는 연구도 있다는 것.
또 아프리카 북부에서 북유럽에 걸쳐 서식하는 비이동성 나비 35종을 관찰한 결과 기온이 오르면서 이들의 3분의 2는 서식지를 20∼150 마일 북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임은 이와 함께 어떤 형태로 나타날 것인지를 분명히 지목하기는 어렵지만 지구온난화가 인류의 질병과 사망을 증가시킬 것이라는데는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돼있다고 밝혔다.
기온의 상승이 지난 2003년 8월 유럽을 휩쓸며 최소한 2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간것과 같은 폭염을 더 자주, 더 길게 야기하는 것은 물론, 열대지방 모기들의 증가와이에 따른 말라리아, 뎅기열(熱) 등의 확산도 초래할 수 있다는 것.
세계보건기구(WHO)의 보수적 평가에 따르더라도 기후 변화가 1년에 최소한 15만명의 목숨을 더 앗아가고 있으며, 2030년에는 기후 변화에 따른 추가 희생자가 2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타임은 현재는 온실가스 방출량이 많지 않은 중국과 인도가 향후 지구 온난화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지적했다.
현재 중국과 인도의 1인당 온실가스 방출량은 일본, 스웨덴은 물론, 미국 보다도 더 적다. 현재 미국인들의 1인당 이산화탄소(CO2) 방출량은 인도의 20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문제는 중국과 인도의 24억 인구가 미국인과 같은 에너지 집중형 생활을원하고 있고 이에 따라 두 나라의 온실가스 방출량이 앞으로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예상된다는 점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00년부터 2030년까지 중국에서 늘어나는 온실가스 방출량이 선진국 전체의 온실가스 증가량과 거의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또 인도의 온실가스 방출량 역시 2025년까지 70% 증가할 것이라는게 세계자원연구소(WRI)의 분석이라고 타임은 덧붙였다.
(뉴욕=연합뉴스) 이래운 특파원
아토피 등 환경질환 원인자 규명 시급
재정운용계획 환경분야 토론회
중앙일보    2006.03.27 06:06  
아토피나 천식 등 새로운 환경성 질환을 극복하기 위해 질환의 원인이 어디 있는지를 국가적 차원에서 하루 빨리 규명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기획예산처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4일 기획처 청사 MPB홀에서 2006~2010년 국가재정운영계획 환경분야 공개토론회를 열고 환경보건 등 새 환경수요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재정운용계획 환경분야 작업반은 이날 토론회에서 유해화학물질 제조자 등에 원인자 부담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원인자에 대한 규명이 쉽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환경보전 대책 재원을 마련하고 저독성.무독성 대체물질 개발과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부담금 부과 가능성을 검토해야 하지만 아직 기초조사조차 돼 있지 않아 부담금 부과의 근거가 미약하다는 것이다.
특히 유해화학물질은 유통시스템이 복잡해 추적이 힘들고 데이터가 부족해 당장다른 부담금처럼 부과대상을 정하기가 쉽지 않다고 작업반은 설명했다.
현재 원인자 부담원칙에 따라 부과하는 부담금으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자에 부과하는 대기배출부과금, 수질오염물질 배출사업자에 물리는 수질배출부과금, 허가대상 축산업자에 부과하는 오수분뇨배출부과금, 제품.용기 제조업자와 수입업자가 대상인 폐기물부담금 등이 있다.
작업반은 환경오염과 관련해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조사와 연구사업, 피해자 지원사업 등을 국가가 해야 한다면서 재정을 확대하는 것 외에 규제기준이나 화학물질 제조, 사용 관리강화 등을 통해 문제해결을 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지적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국립공원 입장료 징수를 폐지하는 문제도 거론돼 공방을 벌였다.
입장료 폐지를 주장하는 측에서는 국립공원은 원래 국민의 것으로 재정이 부족하던 시기에 국가가 임시방편으로 입장료를 징수한 것이므로 폐지해야 마땅하다는 주장을 폈다.
이에 대해 환경부 등 환경보호를 주장하는 참석자들은 입장료를 폐지할 경우 방문객이 많아지고 관리비도 훨씬 늘어날 것이라면서 국민 전체가 내는 세금을 일부만이용하는 공원관리에 사용하는 데는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서울=연합뉴스)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