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소식지 - 다이옥신2

관리자
발행일 2007-08-22 조회수 11

필수지방산’ 등푸른 생선 많이 먹으면 ‘독’?
‘갈치·참치 다이옥신’ 실태
한국 사람 어류 통해 전체 다이옥신 73% 섭취
지방질 많고 육식성에 많아…가이드라인 필요
           다이옥신류 섭취 경로
아이가 심한 아토피를 앓은 뒤 바른 먹을거리 운동을 시작한 김지연(40)씨는 캔에 든 생선을 먹지 않는다. 수은과 비스페놀 같은 환경호르몬을 피하기 위해서다. 대신 고등어 같은 등푸른 생선을 많이 먹는다. 하지만 이런 생선에 든 다이옥신이 새로운 고민을 안겼다. 생선을 먹을 것인가 말 것인가.
수산물이 왜 문제인가=배출된 다이옥신은 공기와 토양, 물을 거쳐 결국은 바다로 간 다음 먹이사슬을 거쳐 어·패류에 축적된다.?<그림 참조> 식품의약품안전청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사람은 어류를 통해 전체 다이옥신의 73.3%를 섭취한다. 육류 12.8%, 대기 6.4%, 곡류 3.5%보다 훨씬 비중이 높다.
어류 가운데 지방질이 많거나 먹이사슬 꼭대기에 있는 종, 그리고 오래 사는 것일수록 다량의 다이옥신을 함유하게 된다.
해양수산부의 2006년 조사에서도 육식성인 갈치, 참치, 갯장어나 지방함량이 많은 청어와 고등어에서 비교적 많은 다이옥신류가 검출됐다. 수명이 짧거나 잡식성인 멸치, 숭어, 병어 등의 오염도가 낮은 것도 이 때문이다.
또 살 부위보다는 간, 아가미, 내장 등 지방이 많이 끼는 곳에 다이옥신류의 농도가 높았다. 문제는 이 지방산이 사람이 스스로 만들지 못하는 필수 영양소라는 데 있다. 등푸른 생선에 많은 오메가3 지방산은 심장병을 줄여 주고, 임신부가 섭취하면 아기의 시력과 두뇌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선, 과연 안전한가=해양수산부와 식약청은 우리 수산물이 안전하다고 단언한다. 국민 1인당 매일 섭취하는 다이옥신류 섭취량이 체중 1㎏당 하루 0.794pg(피코그램, 1pg은 1조분의 1g)으로, 한국과 일본의 하루섭취허용량 4pg의 20% 수준이라는 게 그 근거다. 미국인의 수산물을 통한 하루 다이옥신 섭취량 0.147pg(2001년)보다는 5배가량 높지만 일본의 1.44pg(2001년)보다는 낮다는 근거도 제시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시각은 다르다. 신동천 연세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다이옥신은 아직도 가장 중요한 환경오염물질의 하나”라며 “한국이 미국·일본 오염도의 70~80% 수준이지만 선진국이 강력한 규제로 오염도를 급속히 줄여가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1987~1995년 사이 다이옥신 배출량을 75% 줄였고, 일본도 배출량 삭감 덕분에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이 최근 5년간 26% 감소했다. 반면 해양수산부가 조사한 국산 수산물을 통한 하루 다이옥신 섭취량은 2003년 0.88pgTEQ/㎏에서 2005년 0.775, 2006년 0.794pgTEQ/㎏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이동수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수산물만으로 1pg에 육박하는 현재의 다이옥신류 섭취량은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며 “고농도의 어·패류를 집중적으로 먹는 인구집단과 임신부·아이 등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우리 국민이 매일 평균 고등어 5.5g, 갈치 2.5g, 참치 2.0g꼴로 먹는다는 국민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루 평균 다이옥신류 섭취량을 계산했다. 그러나 하루에 갈치 50g 또는 고등어 100g만 먹어도 다이옥신 섭취량은 각각 231pg, 263pg으로 국내 최대허용치인 220pg(55㎏ 성인 기준)을 넘어선다.
또 다이옥신류의 하루섭취허용량도 세계보건기구는 1~4pg로 해, 섭취량을 1pg 이하로 줄이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이탈리아·네덜란드·스웨덴도 목표치는 1pg이며, 미국 환경보호청은 더 엄격한 0.01pg이다.
가이드라인 만들자=생선에 포함된 다이옥신·수은의 위험과 필수지방산의 혜택 가운데 어느 쪽이 큰지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미국·일본·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은 “그래도 생선을 먹으라”고 권하고 있다. 단, 위험집단을 배려한 가이드라인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립수산과학원에 다이옥신 담당자가 단 한명일 정도로 부실한 조사체계와, 조사결과에 대한 지나친 비밀주의와 대중과의 위험소통 부족도 개선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Comment (0)